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임팩트커리어스터디
- REST API
- 인공신경망
- 북클럽
- 머신러닝
- 개발필독서
- springboot
- 북스터디
- mysql
- 스프링컨테이너
- 인텔리제이
- 딥러닝
- 클린코드
- 개발서적
- Deep Learning
- JPA
- 스프링프레임워크
- 스프링어노테이션
- valid
- Dao
- spring
- 노마드코더
- 객체지향특징
- Machine Learing
- til
- IntelliJ
- 스프링스터디
- requestbody
- 노개북
- NullCheck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jsp (1)
dev.jaieve 공부기록
[SpringBoot/Java] JSP를 하다가 JPA를 처음 접하면서 생긴 의문 - JPA의 DTO와 JSP의 DAO의 차이점
JPA의 DTO와 JSP의 DAO의 차이점 DTO는 Controller와 Service 계층을 이어주는 객체이고, DAO는 서비스와 DB를 이어주는 객체이다. 때문에 DTO를 사용하는 경우 DB와 연결되는 계층이 필요한데 domain이 그 역할을 맡는다. 이렇게 이해하면 초보자이거나 입문자 입장에서는 Entity == DAO 라고 쉽게 이해할수 있지만 DAO와 domain의 Entity는 의미론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같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DAO는 연결할 DB의 설정정보와 같은 정보들을 갖고 있는 계층이다. 하지만 JPA의 경우 이런 db properties를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이란 파일에 설정해두고 JPA가 알아서 Connection 객체를 생성..
Back/Springboot
2021. 7. 24. 21:20